05
8월
2023

한국인의 올바른 식습관

우리나라 사람들의 건강 미니멀리즘

요즘 유행하는 미니멀리즘은 단순함과 간결함을 추구하는 문화 흐름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가령 집 안 물건을 꼭 필요한 것만으로 축소하는 것도 미니멀리즘의 일환이라 할 수 있는데, 모든 것이 여유롭고 넘치는 세상을 살아가는 탓에 우리 신체나이나 건강에도 어느정도 미니멀리즘이 필요 할 수도 있습니다. 풍요 속의 빈곤이라는 옛말이이 우리 건강만큼 들어맞는 곳도 없다고 할 수 있는데, 지나치게 많이 어떤 것을 추구하고 탐닉했다가는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말로 해석 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식습관이 우리 건강을 위해 꼭 줄여나가야 하는 과잉 대상인지 알아보고, 그 해결책은 무엇인지 지금부터 살펴봅시다.

혈관을 공격하는 ‘짠맛’ 과다 섭취

오늘날 대한민국을 비만과 고혈압 천국으로 만든 가장 큰 음식으로는 짠맛을 지나치게 좋아하는 한국인의 식습관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음식을 짜게 먹으면 우리 몸은 이를 해소하려고 더 많은 음식을 찾게 되는데, 뇌의 시상하부에서는 짠맛을 해소하라고 갈증 신호를 보내지만 사람들은 흔히 이를 허기짐으로 착각하고 음식을 찾고 먹게 됩니다. 또 짠 음식은 대부분 지방이나 탄수화물과 버무려져 있어 칼로리가 굉장히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인 식습관

비만의 가장 큰 적으로 단맛과 함께 짠맛을 거론하는 이유는 한국인의 유별난 소금에 대한 애정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WHO(세계보건기구) 권장량이 하루에 5g 이하인데 반해, 한국의 많은 사람들은 약 두 배 이상 섭취하는 사람들을 더러 많이 만날 수 있습니다. 짠 입맛에서 싱거운 식성으로 바꾸는 것은 비만 치료뿐만 아니라 건강을 위해서도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건강을 위해 소금 섭취를 줄이는 식습관

한식 중에는 소금이 많이 함유된 식품 및 조미료류가 많이 있는데, 가급적 이들을 멀리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간장, 된장, 고추장, 각종 젓갈 등이 이에 속합니다. 특히 양념장에는 맵고 짠 양념들이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비빔밥을 먹더라도 양념장을 될 수 있는 한 적은 듯하게 넣고 비벼 먹는것이 좋으며, 이러한 식품들이 많이 들어간 양념의 경우 최대한 적게 비벼 먹는 것을 권장하고, 먹더라도 적은양의 양념으로 섭취하는게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소금은 최대한 꺼내기 힘든 곳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요리를 하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습관적으로 소금을 넣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소금을 꼭 써야 한다면 극소량만 치고 다시 꺼내기 힘든 곳에 넣어두어는 것이 좋습니다. 가령 의자를 딛고 올라서야 손이 닿는 싱크대 서랍장 상단에 두거나, 조미료 및 양념 보관함 맨 뒤쪽 부분에 두는 등의 습관으로 의식적으로 소금을 적게 먹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습니다.

이처럼, 한국인은 건강을 해치는 잘못된 식습관 중에 가장 큰 변화를 가져와야 할 부분이 바로 저염식 음식을 습관화 하는 것입니다. 음식을 짜게 먹는 사람보다 싱겁게 먹는 사람들이 고혈압을 포함해 많은 질병과 건강에서 더 나은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상식입니다. 소금을 멀리하는 식습관을 시작하는 것이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첫 걸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부족해도, 넘쳐도 해로운 ‘탄수화물’ 과잉 섭취

우리의 뇌는 포도당을 주 에너지원으로 이용합니다. 탄수화물 섭취가 줄어들면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을 혈당으로 분해해서 당을 공급하므로 갑자기 큰 문제가 생기지는 않습니다. 다만 혈당 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당뇨 환자들의 경우에는 저혈당 상태가 되면 간과 근육에 저장된 글리코겐이 부족하고 체내 중성 지방이 분해되어 지방산의 산화가 높아지면서 케톤체의 축적이 일어나게 됩니다.

더불어 체단백 분해, 나트륨 손실, 탈수를 높혀 뇌 혈류장애, 뇌 에너지 공급의 불량 등으로 뇌 기능이 저하됩니다. 급성 결핍은 국소적인 신경장애, 간질발작, 혼수상태의 의식 변화를 발생시키며, 만성 결핍은 인지 장애를 만들기도 합니다. 최근 연구에서 저혈당증은 뇌졸중, 간질발작, 뇌염, 저혈당 뇌병증 정신질환, 치매와 비슷한 신경 장애의 증상을 일으킴과 동시에 뇌세포의 사멸을 가져와 영구적인 뇌 기능 저하를 서서히 진행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Share

You may also like...